윈도우에 터미널 설정하기
04 Sep 2021회사에서는 Mac을 사용하고 집에서는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니 윈도우의 커맨드가 익숙치 않아 작업이 헷갈릴 때가 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윈도우 터미널에 Git Bash를 적용하여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보자.
들어가기에 앞서
MS에서 드디어(!) 터미널을 정식으로 출시하였다. 이를 먼저 설치해주자. 윈도우 터미널은 Microsoft Store 에서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UI의 터미널을 볼 수 있다. 이 터미널은 PowerShell과 cmd, Azure Cloud Shell 3가지가 기본적으로 들어있다.
그리고 만약 Git Bash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해주도록 하자 (링크)
Git Bash 적용하기
터미널을 실행해서 위에 화살표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탭이 뜬다. 해당 탭에서 설정 탭으로 진입한다.
설정 탭에서 왼쪽 새 프로필 추가 > 새 빈 프로필
눌러 새로운 쉘을 추가한다. 이때 기입해야할 값들은 아래 사진과 같다.
/* 명령줄 - git이 설치되어있는 경로로 입력해주어야 한다.*/
"D:\Program Files\git\usr\bin\bash.exe" -i -l
/* 디렉터리를 시작하는 중 */
%USERPROFILE%
/* 아이콘 */
D:\Program Files\git\mingw64\share\git\git-for-windows.ico
이때 사진에서 D:\Program Files
의 경우 설정하는 PC의 git 설치 경로로 입력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설정 끝!
이제 Mac 부럽지 않게 .bash_profile
파일을 수정하여 터미널을 취향에 맞게 설정해주면 된다.